해넘이·해맞이 등산 시 실족과 저체온증 주의!
연말연시 등산사고 예방을 위한 안내
행정안전부는 연말연시 기간 동안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각별한 주의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넘이와 해맞이 산행 시 실족과 같은 사고 예방이 필요합니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의 데이터에 따르면, 연말연시에 발생한 등산사고가 1758건에 달하며, 대표적으로 1월 1일 해맞이 기간 동안 사고가 많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통계는 산행의 중요성과 위험성을 보여주며, 기본적인 안전 조치를 준수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등산사고의 발생 원인
연말연시 등산사고의 주요 원인은 실족과 조난사고로, 각각 40%와 26%를 차지합니다. 특히, 1월 1일에는 실족이 37%, 신체 질환으로 인한 사고가 28% 발생하여 산행 시 체력 안배 또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예정된 산행의 어려움이나 난이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체력 분배가 필요합니다.
- 실족(40%)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 조난사고는 26%로 큰 비율을 차지합니다.
- 체력 안배가 중요한 신체 질환으로 인한 사고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안전한 산행을 위한 준비물
해넘이와 해맞이를 위해 산에 오르기 전, 적절한 준비물을 챙기는 것이 필요합니다. 기본적으로 가벼운 체조로 근육을 풀고, 하산까지 적당한 체력을 유지하기 위해 체력을 분배해야 합니다. 또한, 야간이나 이른 새벽에는 얼어 있는 등산로에 대비해야 하며, 눈길과 빙판에 대비한 장비도 필요합니다. 이와 함께 온도 변화에 대비하여 여벌의 옷, 담요, 따뜻한 차 등을 준비해야 합니다.
식별하고 대처하는 방법
눈이 쌓인 지역에서는 원경 감각이 떨어지기 때문에 길을 잘못 들었을 경우 빠르게 복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등산로 곳곳에는 국가지점번호와 위치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난 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활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지도와 기호를 숙지하고 있으면 위기 상황에서 더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경찰청의 안전관리 방침
지역 | 인원 | 주요 역할 |
서울 보신각 | 1500명 | 교통 통제 및 비상통행로 확보 |
울산 간절곶 | 180명 | 해맞이 행사 안전관리 |
강릉 경포해변 | 120명 | 취약지역 안전사고 예방 |
경찰청은 연말연시 안전 관리를 위해 주요 인파 밀집 지역에 경찰관을 배치하여 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서울, 울산, 강릉 등지에서의 안전 관리는 인파가 몰리는 행사와 더불어 많은 주의를 요하는 시기입니다. 경찰관의 지원으로 행사 구간의 안전성이 보장되며, 위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것입니다.
응급상황 발생 시 대처 방법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반드시 신속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질환이 있는 경우 필요한 상비약을 챙겨야 하며,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따뜻한 곳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특히, 떨림, 피부 창백, 청색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저체온증을 의심해야 합니다. 신속히 대처하여 체온 회복을 도울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구조 요청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행정안전부의 안내 및 정보 제공
행정안전부는 안전 예방을 위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문의를 통해 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받아볼 수 있으며, 산행 전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요소들을 잘 기억해야 합니다. 연말연시에 산을 찾는 모든 이들이 안전하게 해넘이와 해맞이를 즐길 수 있도록 모든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연말연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등산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많기 때문에 철저한 준비와 안전 수칙의 준수가 필수적입니다. 신체적 조건에 맞춘 얕은 산행과 가벼운 체조로 몸을 풀고, 효율적인 체력 배분으로 위험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또한, 날씨에 따라 적절한 복장과 장비를 마련하여 안전한 산행을 즐기도록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