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R&D 지원 10개 전략거점센터 운영!
글로벌 연구개발 지원 사업의 개요
내년부터 글로벌 연구개발(R&D) 지원에 특화된 글로벌 전략거점센터가 권역별로 운영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개, 산업통상자원부는 2개의 센터를 지정하기로 하였다. 이 센터들은 과학기술과 ICT 글로벌 협력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며, 권역 내 다른 해외 센터들과 연계 및 협력을 통해 국제공동연구 및 인력교류를 활성화할 예정이다. 더불어 디지털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러한 전략은 해외 우수 연구기관 및 기업과의 협력 체계를 더욱 효율화하고, 글로벌 연구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글로벌 R&D 특별위원회의 역할
글로벌 R&D 특위는 글로벌 R&D 정책의 종합 조정 및 전략 고도화, 그리고 체계적인 운영 및 관리의 범부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여러 안건들이 논의되었으며, 2024년도 하반기 이행 계획 및 글로벌 R&D 추진전략과 과학기술 글로벌 협력 종합 전략의 현황 점검이 이루어졌다. 글로벌 R&D 플래그십 프로젝트와 관련한 여러 과제들이 안전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이행 현황을 점검하고, 지속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이 위원회의 주요 목표 중 하나이다.
- 2024년 하반기 이행 현황 점검
- 첫 번째 글로벌 R&D 플래그십 프로젝트 추진 현황
- 글로벌 전략거점센터 운영 방안 논의
글로벌 R&D 전략지도 개발
16개의 글로벌 R&D 전략지도를 수립하여 해외 우수 연구기관 및 기업과의 협력을 촉진할 계획이다. 이 전략지도는 반도체, 사이버 보안 등 8개 분야로 다양하게 구성되며, 각 분야별로 전략적인 협력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제공된다. 특히, 탄소중립기술과 관련된 8개 분야의 전략지도도 함께 마련되어,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한 글로벌 협력을 선도하는 데 주력할 것이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글로벌 R&D 생태계를 효율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들이 제안될 예정이다.
글로벌 전략거점센터의 운영 계획
과기정통부는 내년부터 글로벌 전략거점센터를 권역별로 지정하여 운영하는 계획을 세웠다. 미주 4개, 유럽 2개, 아시아 2개 등 총 8개의 센터가 글로벌 R&D 지원에 특화된 역할을 할 예정이다. 이러한 센터들은 국제 공동 연구 및 디지털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권역 내 해외 센터들과의 연계 협력을 통해 글로벌 연구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하게 된다. 이는 가치 있는 글로벌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R&D 헬프데스크의 운영 및 기능
헬프데스크의 시범 운영 장소 | 벨기에 브뤼셀 | 목표: 유럽과의 공동 연구 지원 |
협력 기관 | 재외 과협, 무역관 등 | 목적: 연구자 애로 사항 해결 |
글로벌 R&D 헬프데스크는 내년 유럽 전략거점센터에 설치될 예정으로, 글로벌 협력을 원하는 연구자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 헬프데스크는 재외 과협, 무역관 등과 협력하여 유럽과의 공동 연구를 추진하려는 연구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특히, 특히 호라이즌 유럽 준회원국으로 가입이 이루어질 경우, 우리 연구자들은 현지에서 더 많은 기회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의 전략거점 운영 계획
산업부는 내년부터 미국(워싱턴 D.C.) 및 유럽(브뤼셀)을 전략거점으로 지정하여 운영할 예정이다. 이들 거점은 현지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R&D 과제 기획과 발굴, 국제 공동 연구 관리 등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국제협력의 전 주기 지원은 한국의 기술 역량을 강화하고,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 이외에도, 연구 성과의 확산 및 국제적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관련 작업을 안전하게 추진할 계획이다.
기술 수준 분석 및 협력 전략
정부는 데이터 기반의 국가 및 지역 간 기술 수준 분석을 통해 해외 우수 연구기관과의 능동적이고 전략적인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글로벌 R&D 전략지도는 이와 같은 분석에 기초하여, 각 국가와 지역별 기술 수준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협력 전략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국제협력 R&D 전략의 중요성을 더욱 높이고, 전반적인 기술 수준을 상승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기술 확보 및 글로벌 협력의 필요성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면서, 국제 협력 R&D 전략의 강화는 정당화되고 있다. 과학기술혁신본부장 류광준은 이러한 점을 강조하며, 다양한 정책 수단을 활용하여 글로벌 R&D 생태계 활성화와 성과 창출에 중점을 두고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러한 정책은 단순한 국내 연구 개발을 넘어서, 국제 협력과 기술 확보를 위한 전방위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이 더해질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글로벌 R&D의 지속 가능성
향후 글로벌 R&D의 전략과 목표는 그 지속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세워질 것이다. 과학기술과 산업의 역량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반기별로 점검하는 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정부는 글로벌 협력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여 필요에 따라서 정책을 수정하고 보완할 방침이다. 이는 국제적 기술 경쟁에서의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한국의 글로벌 R&D 선도 역할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의 및 지원 체계
정부는 글로벌 R&D 관련 다양한 문의 및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과학기술전략과를 통해 궁금한 사항이나 필요한 지원을 요청할 수 있으며, 각종 사업에 대한 상세한 정보도 제공받을 수 있다. 각 부서의 연락처는 제공된 바와 같으며, 연구자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는 방향으로 지속 가능한 지원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