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수권 확보 유럽·서남아의 새로운 국제선 네트워크
항공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 발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에 따라 정부는 저비용항공사(LCC)를 적극 육성하여 경쟁 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열린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공유하며, 통합항공사의 국제선 네트워크를 개선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특히, 유럽, 서남아 등 중장거리 운수권을 추가 확보하고 LCC의 중장거리 취항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러한 사업 전략을 통해 항공운송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목표이다.
글로벌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전략
이번 방안에서는 국제선 네트워크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수요자 중심의 국제선 확대를 추진하고, 신흥시장 발굴을 통해 인도 및 방글라데시 등 지역의 운수권을 확대할 예정이다. 특히 아프리카 및 중남미 노선의 부정기편 운항을 지원해 다양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러한 접근은 국민의 이동 수요를 충족시키고, 다양한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 국제선 확대를 위한 수요자 중심 정책 추진
- 신흥시장 발굴 및 운수권 확대
- 부정기편 운항 지원으로 네트워크 다양화
인천공항의 경쟁력 강화 방안
인천공항은 환승객 확대와 관련된 주요 전략으로, 동북아 경쟁공항 간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노선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인천발 미취항 노선 발굴 및 신설을 통해 경쟁력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환승 시간을 단축할 방법도 모색 중이다. 시간당 더 많은 항공기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슬롯을 확대하고, 환승객 유치를 위한 연결 항공편 출발시간 조정 등의 조치도 마련될 예정이다.
지방공항 활성화 방안
국토부는 국가균형발전의 일환으로 지방공항을 활성화하고 다양한 노선 운영을 유도하기 위한 조치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부산-자카르타, 청주-발리 등 노선 외에도 유럽 및 서남아 중장거리 노선의 지방공항 전용 운수권을 지속 확보할 예정이다. 특히 신공항 건설과 거점 항공사의 육성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용역도 계획 중이다. 이러한 노선 운영을 통해 지방공항의 수익성을 높이고 지역 거점 공항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것이다.
기업결합 후속 네트워크 개편
중복 운항 노선 통합 | 신규 노선 추가 | 소비자 선택권 확대 |
아일랜드 더블린 취항 | 덴마크 코펜하겐 취항 | 운항 시간 분산 |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노선 개편은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예정이다. 양사가 기존에 중복 운항하던 노선은 효율적으로 통합하고, 신규 노선의 개발을 통해 선택권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추진된다.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항공사 간의 경쟁을 촉진할 것이다.
항공화물 국제선 확대
국토부는 기업 지원을 위한 항공화물 국제선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아시아나의 화물사업 매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류망 단절을 방지하고, 최근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따른 대응 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는 인도 및 중국 등의 화물 운수권을 확보함으로써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더욱 수월하게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와 함께 글로벌 물류기업의 물류센터 유치와 복합운송 사업모델의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질 예정이다.
항공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의지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기업결합으로 통합된 항공 네트워크를 효율화하고, 서남아 등 신흥시장으로의 운항 확대를 통해 이동 편의를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조치는 기업 활동 지원 강화와 함께 항공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 전략으로, 국민의 독과점 우려를 해소하고 소비자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항공운송 산업
전반적으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은 국내 항공운송 산업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통합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더 많은 노선이 생기고, 저비용 항공사(LCC)의 활성화가 이루어진다면, 국내 여행객과 기업의 이동 편의가 크게 개선될 것이다. 또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 및 시장 환경 조성 노력은 항공 산업의 밝은 미래를 전망케 한다.
제휴 및 협력 방안
향후 국토부는 공정 거래위원회와 협력하여 독과점 문제를 해결하고, 항공사 간의 시정조치를 철저히 이행할 계획이다. 이행감독위원회의 구성은 이에 따른 중요한 과정이 될 것이며,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항공 서비스의 질을 높여 나갈 예정이다.
결론
위와 같은 다양한 전략과 방안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 이후, 국내 항공운송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각적 노력의 결과로 볼 수 있다. 항공사 간의 경쟁을 촉진하고, 정책적 지원을 통해 국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시간만을 기다리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