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수출 2위 탈환과 무역수지 1위 굳건

충남, 수출 2위 탈환과 무역수지 1위 굳건
2025년 8월 기준, 충청남도가 전국 수출 순위에서 2위를 차지하며 무역수지 1위 자리를 확고히 했습니다. 누적 수출액은 585억 달러, 무역수지 흑자는 333억 달러에 달해 지역 경제의 견고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글로벌 통상 환경이 여전히 불확실한 가운데, 충남의 이번 성과는 주력 산업의 회복과 중소기업의 활약, 그리고 충남도의 체계적인 수출 지원 정책이 어우러진 결과로 평가됩니다.
2025년 8월 수출입 동향
구분 | 수출액(억 달러) | 수입액(억 달러) | 무역수지(억 달러) | 순위 |
---|---|---|---|---|
충남 | 585 | 252 | 333 | 수출 2위, 무역수지 1위 |
올해 누적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 감소했으나, 8월 한 달만 보면 2.5% 증가하며 뚜렷한 회복세를 나타냈습니다.
주력 산업과 중소기업의 활약
충남 수출의 핵심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이 글로벌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수출이 전년 대비 4% 증가하는 등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전체 수출 반등을 견인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됩니다.
또한, 중소기업이 주도한 1차 산품과 소비재 수출도 크게 성장했습니다. 1차 산품은 전년 대비 58.3% 증가한 2억 4천만 달러를 기록했고, 소비재 수출도 소폭 상승해 충남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동남아 시장 다변화
베트남,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로의 수출 확대가 두드러졌습니다. 이는 충남 수출의 시장 다변화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며, 세계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충남도의 수출 지원 정책
충남도는 해외시장 개척단 파견,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해외 박람회 참가, 바이어 매칭 프로그램, 단계별 수출 컨설팅, 7개국 해외사무소를 통한 밀착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수출 진입 장벽을 낮추고 해외 판로 개척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앞으로의 전략
- 해외시장 맞춤형 지원 확대
- 신흥시장 개척 및 수출 다변화
- 중소기업 수출 전 과정 지원(판로 개척부터 사후 관리까지)
- 특정 산업 및 지역 의존도 감소
충남도 관계자는 "이번 수출 2위 달성은 충남 중소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갖췄다는 증거"라며, "앞으로도 유망 기업 발굴과 맞춤형 지원을 통해 지속 가능한 수출 성장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마무리
충남의 이번 성과는 기술력 있는 주력 산업, 성장 가능성이 높은 중소기업, 그리고 치밀한 수출 지원 정책이 조화를 이루어 이뤄낸 결과입니다. 앞으로 충남이 국가 수출의 중심지로서 더욱 높은 성장을 이어갈지 주목됩니다.
지역 | 2024년 수출액(백만 달러) | 증감률(%) | 2025년 8월 수출액(백만 달러) | 증감률(%) |
---|---|---|---|---|
충남 | 92,606 | 16.6 | 58,539 | -1.5 |
순위 | 수출액(백만 달러) | 수입액(백만 달러) | 무역수지(백만 달러) |
---|---|---|---|
1위 | 경기 110,767 | 서울 124,377 | 충남 33,341 |
2위 | 충남 58,539 | 경기 106,272 | 울산 26,810 |
3위 | 울산 58,309 | 인천 40,390 | 인천 40,39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