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보원사지, 천년 역사 품은 사찰터

Last Updated :
서산 보원사지, 천년 역사 품은 사찰터

서산 보원사지, 천년의 불교 문화 현장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05에 위치한 보원사지는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에 이르기까지 번성했던 대규모 사찰의 옛터입니다. 현재는 절의 건물은 사라지고 터만 남아 있으나, 그 규모와 역사적 중요성을 짐작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유산이 남아 있어 사적 제316호로 지정되어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역사적 배경과 중요성

보원사는 백제 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까지 화엄종의 중심 사찰로 크게 번성했습니다. 특히 신라의 대표적 승려 의상대사의 10대 사찰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어 그 위상이 매우 높았습니다. 고려 시대에는 법인국사 탄문이 주석하며 왕실과 깊은 인연을 맺은 사찰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요 문화재와 유물

  • 서산 보원사지 석조 (보물 제102호): 약 4톤의 물을 담을 수 있는 거대한 돌그릇으로, 소박하면서도 웅장한 느낌을 주며 당시 사찰의 규모를 보여줍니다.
  • 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 (보물 제103호): 절 앞에 깃발을 달았던 당간을 받치는 두 개의 돌기둥으로, 통일신라시대의 당간지주 양식을 잘 보여줍니다.
  •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보물 제104호):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의 건축 양식을 대표하는 탑으로, 기단에 팔부신중과 사자상이 새겨져 있으며 백제 건축 양식의 특징인 얇고 길게 뻗은 처마가 독특합니다.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및 탑비 (보물 제105호, 제106호): 고려 광종의 왕사였던 법인국사 탄문의 사리와 행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탑과 탑비로, 화려하고 섬세한 조각이 돋보이며 고려 시대 승탑 및 탑비 연구에 중요한 자료입니다.

발굴 조사와 유물

발굴 조사 결과, 백제 시대 금동여래입상이 출토되어 보원사의 창건 시기를 백제 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릴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습니다. 또한 통일신라시대 철제여래좌상 등도 발견되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 중입니다.

문화유산의 가치와 지역적 의미

보원사지는 인근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과 함께 가야산 일대 불교 유적을 대표하는 장소로, 천년의 역사를 간직한 중요한 문화유산 현장입니다. 이곳은 충남 지역의 역사와 불교 문화 연구에 큰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서산 보원사지, 천년 역사 품은 사찰터
서산 보원사지, 천년 역사 품은 사찰터
서산 보원사지, 천년 역사 품은 사찰터 | 충남진 : https://chungnamzine.com/6611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충남진 © chungnam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