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 갯벌, 여름 끝자락의 풍경

Last Updated :
서천 갯벌, 여름 끝자락의 풍경

서천 바다와 갯벌의 여름 이야기

여름의 끝자락, 충남 서천의 바다는 여전히 풍성한 이야기를 품고 있었다. 이번 현장 취재는 장항송림산림욕장과 스카이워크를 시작으로 장포리 갯벌, 비인해변 철모바위, 선도리 해변과 쌍도까지 이어졌다. 드론 촬영을 통해 내려다본 서천의 갯벌은 바다와 사람, 전설과 현재가 어우러진 특별한 무대였다.

장항송림산림욕장과 보랏빛 맥문동

가장 먼저 찾은 곳은 장항송림산림욕장이다. 8월 25일 아침, 송림 숲길을 따라 걷는 이들은 솔향기를 느끼며 산책을 즐겼다. 숲 아래에는 보랏빛 맥문동이 막 피어나기 시작해 약 30% 정도 개화한 상태였다. 9월 초 주말쯤이면 송림길 전체가 보랏빛 융단처럼 물들 것으로 기대된다. 이른 아침 숲길에는 산책객들이 드문드문 보였고, 드론은 저공 비행으로 맥문동의 보랏빛과 송림의 초록빛을 함께 담아냈다. 맑은 아침 공기와 어우러진 숲길과 꽃길의 조화는 한 폭의 그림 같았다.

장포리 갯벌과 군함바위

두 번째 방문지는 장포리다. 멀리 바다 위로 군함을 닮은 바위섬이 눈에 띄는데, 현지에서는 이를 ‘군함바위’ 또는 ‘옵바위’라 부른다. 일몰 명소로 알려져 있으나 이날은 물때와 시간이 맞지 않아 붉은 노을을 담지 못해 아쉬움이 남았다. 낮에도 군함바위는 위엄 있게 서서 서천 바다의 또 다른 얼굴을 보여주었다.

장포리 바다에서는 썰물 때 드러나는 ‘할미바위’가 특히 눈길을 끈다. 바닷물이 빠지면 약 800m 갯벌길을 걸어 들어갈 수 있는데, 남편을 기다리다 돌이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져 더욱 애틋한 장소다. 드론은 갯벌을 가로지르는 길과 바위섬을 따라 걷는 사람들의 모습을 위에서 비추며 전설과 현재의 풍경을 겹쳐 놓았다.

전통 어로법 독살과 갯벌의 삶

갯벌 속에는 전통 어로 방식인 ‘독살’의 흔적도 남아 있다. 조수 간만의 차를 이용해 돌담을 V자 형태로 쌓아 고기를 잡던 지혜가 지금도 갯벌에 새겨져 있다. 한쪽은 150m, 다른 한쪽은 200m에 이르는 독살 돌담은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더욱 뚜렷하다. 드론은 이 미로 같은 돌담을 따라가며 어민들의 삶을 생생하게 기록했다.

비인해변 철모바위와 신비로운 풍경

다음으로 찾은 비인 선도리의 철모바위는 머리에 철모를 쓴 듯한 바위와 그 위에 뿌리내린 소나무가 신비로운 풍경을 자아냈다. 드론은 바위를 중심으로 원을 그리며 비행해 바위와 바다, 해변을 찾은 사람들의 모습을 함께 담았다. 특히 일몰 무렵 철모바위 뒤로 붉게 물드는 하늘과 바다가 어우러져 장관을 이뤘다. 사진 애호가들이 이곳을 찾는 이유를 짐작할 수 있었다.

선도리 해변과 쌍도의 갯벌길

마지막 촬영지는 선도리 해변과 쌍도였다. 썰물 때 바다가 열리며 두 섬을 잇는 모래길이 드러났다. 하루 두 번 바다가 허락하는 길로, 갯길을 걷는 사람들의 실루엣이 드론 화면에 특별한 장면으로 남았다. 하늘에서 바라본 갯벌 무늬는 파도가 물러간 자리에 자연스럽게 그린 거대한 그림 같았다. 평일이자 여름 끝자락이라 갯벌에는 장화를 신고 호미로 조개를 캐는 가족들이 일부 있었으나 촬영에는 담지 못했다. 그럼에도 바닷길과 갯벌 무늬, 바다와 이어진 풍경만으로 충분히 특별한 순간이었다.

마무리하며

이날 촬영은 오후 1시경 마무리되었다. 물때와 일몰 시간이 맞지 않아 붉은 노을을 담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지만, 9월 맥문동 만개 시기에 다시 방문하겠다는 다짐을 남겼다. 바닷물이 물러난 뒤 드러나는 길, 고요히 서 있는 바위, 그리고 사람들의 발자국은 서천 바다가 들려주는 오래된 이야기처럼 느껴졌다. 드론이 기록한 하늘빛 풍경 속에서 여름의 기억은 파도 무늬처럼 선명하게 남았다.

주요 방문지 정보

  • 장항송림자연휴양림: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항산단로34번길 122-16
  • 장항스카이워크 전망대: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장항산단로34번길 122-16
  • 비인해변: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선도리
  • 쌍도: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선도리
서천 갯벌, 여름 끝자락의 풍경
서천 갯벌, 여름 끝자락의 풍경
서천 갯벌, 여름 끝자락의 풍경 | 충남진 : https://chungnamzine.com/6504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충남진 © chungnam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