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안정 소비자 부담 줄이기 위한 총력!

Last Updated :

농산물 가격 동향

2023년 겨울, 농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오름세에 접어들었습니다. 여러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딸기, 귤, 배추, 무 등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커피 원두 같은 식료품과 외식비 또한 증가할 가능성이 보입니다. 이러한 가격 상승의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우선 배추와 무의 경우, 김장철이 지나고 겨울작형의 출하가 시작됨에 따라 도매가격이 상승했으나 가정 내 김장 수요가 줄어들고 출하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격 하락이 예상됩니다. 이와 함께 딸기는 생육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감귤류 또한 안정적인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발전 상황을 통해 소비자들이 직면하게 될 가격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배추와 무의 가격 변동

김장철이 지나면서 배추와 무의 가격이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현재 배추와 무의 도매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배추 도매가격: (12.21.) 4,049원/포기 → (12.23.) 3,865원 → (12.25.) 3,504원
  • 무 도매가격: (12.21.) 2,386원/개 → (12.23.) 2,371원 → (12.25.) 2,147원

공급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농식품부는 겨울철 배추와 무 비축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는 한파 같은 일시적 공급 불균형에 대비하기 위한 조치로, 각 1만 톤 이상의 비축을 통해 안정적인 공급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포장김치의 소매가격은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어, 도매가격 상승이 소비자에게 미칠 부담을 최소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 배추 도매가격은 4,049원에서 3,504원으로 하락했습니다.
  • 무 도매가격은 2,386원에서 2,147원으로 감소했습니다.
  • 포장김치의 소매가격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딸기 생육 현황과 가격 전망

딸기의 생육 회복과 재배 면적 확대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의 조사에 따르면, 2024/2025년 딸기 정식 면적은 지난해보다 1.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앞으로의 딸기 생산량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충남 논산, 경남 산청, 진주, 밀양 지역에서 딸기 작황이 양호한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출하량도 안정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생각됩니다.

딸기의 최대 수요 시기인 크리스마스가 지나면서 공급이 원활할 것으로 보입니다. 논산조합공동사업법인의 관계자는 딸기 출하가 예상보다 원활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농업기술센터 담당자도 생육 회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딸기 가격은 안정세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감귤류 출하량과 가격 안정성

감귤류는 현재 출하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공급 상태가 안정적입니다. 특히, 제주지역에서의 생산량 tăng, 대체과일 공급 확대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온주감귤 생산량은 전년 대비 8.1% 감소한 44만 6천 톤으로 추정되지만, 1월 이후에는 공급 상태가 더욱 안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제주도에서의 감귤 출하량 또한 증가하면서 소비자에게 안정적인 공급을 약속하고 있습니다. 감귤 출하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여러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례 개정 등을 통해 품질을 유지하면서 출하량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감귤류의 가격은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식품업계의 원자재 확보 및 가격 안정화 노력

식품업계는 최근 환율 상승 이전에 원자재를 확보해 가격 인상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이상기후와 재배면적 감소로 인해 코코아, 커피, 팜유 등의 생산량이 줄어들며 가공식품의 가격 인상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여러 식품 원자재에 대한 할당관세 도입과 정부의 세제 지원을 통해 이러한 가격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원자재 종류 현재 가격($/톤) 가격 변동(%)
코코아 11,746 362.7%↑
팜유 1,045 17.0%↑
아라비카 커피 7,215 121.0%↑
로부스타 커피 5,008 180.4%↑

농식품부도 이를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마련해 식품과 외식 물가 안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과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나갈 것입니다.

농식품 안정 소비자 부담 줄이기 위한 총력!
농식품 안정 소비자 부담 줄이기 위한 총력! | 충남진 : https://chungnamzine.com/4857
충남진 © chungnam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