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고란사, 백제의 숨결과 약수의 전설

Last Updated :
부여 고란사, 백제의 숨결과 약수의 전설

부여 고란사, 백제의 숨결과 약수의 전설

충남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산 1에 위치한 천년고찰 고란사는 백제의 역사와 전설을 품은 사찰로, 낙화암의 백화정과 함께 백제 패망의 넋을 추모하는 장소입니다. 가을의 끝자락, 차가운 산바람과 투명한 공기 속에서 고란사로 향하는 길목의 백마강은 지난 역사를 회상하게 하며, 강물 위로는 칠백 년 사직의 아픔이 잔물결로 일렁입니다.

고란사에 울려 퍼지는 영종각 범종 소리는 방문객들의 발걸음을 멈추게 하며, 망국의 한을 위로하는 청명한 울림으로 고요와 평정을 선사합니다. 낙화암 절벽 위에 계절의 빛과 고란초 향이 어우러져, 승자의 우화가 전설로 남고 패망의 비극적 역사가 기록으로 확인됩니다.

고란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로, 창건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고려 시대 석불과 1797년 상량문 기록을 통해 백제 시대부터 이어진 사찰로 추정됩니다. 조선 시대 문인 유근과 이윤영의 작품에서 당시 고란사의 모습을 엿볼 수 있으며, 1900년에는 부여군 은산면 숭각사 혹은 승각사를 이전 중수하며 불상을 봉안하였습니다.

사찰 뒤 벼랑에는 희귀한 고란초가 자생하여 고란사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백제 시대 왕들의 연희 장소 혹은 궁중 내불전으로 전해집니다. 조선 시대에는 권세가들이 모여들어 목민관들이 이들을 대접하기 어려워 ‘골란사’로도 불렸습니다.

고란사의 가람 배치는 동향을 향해 법당인 극락보전이 자리하며, 1931년 조성되어 1959년 보수를 거쳤으나 현재는 전면 해체 복원 중입니다. 영종각과 삼성각은 공개되어 있으며, 영종각은 백제 멸망 당시 희생된 백제인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세워졌습니다. 방문객들은 이곳에서 범종 타종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극락보전의 삼존불은 임시불당으로 옮겨져 있으며, 아미타여래좌상과 관음보살상, 대세지보살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조선 후기 불상의 특징을 지닌 이 불상들은 고란사의 역사와 예술적 가치를 보여줍니다.

고란사는 낙화암과 함께 백제 멸망과 관련된 전설과 고란초, 그리고 고란 약수로 유명합니다. 고란 약수는 왕이 마셨다는 전설이 있으며, 신라 원효대사가 고란초와 진란을 세상에 알렸다는 이야기도 전해집니다. 고란초는 제주도에서 불로초로 불리는 여러해살이풀로, 현재는 절벽 틈에 일부만 남아 있습니다.

‘어린아이가 된 할아버지’ 전설은 고란 약수의 효험을 전하는 이야기로, 늙은 노부부가 고란 약수를 마시고 젊음을 되찾았다는 내용입니다. 이 전설은 고란 약수의 신비로움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부소산성은 백마강 남쪽 부소산을 감싸 도성을 방어하는 산성으로, 백제가 웅진에서 사비로 도읍을 옮긴 538년 이전에 축조된 토성입니다. 산성은 테뫼식과 포곡식 방어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고란사 주변의 역사적 명승지로 자리합니다.

고란사 방문은 부소산성 산책로를 이용하거나 백마강 유람선을 통해 가능하며, 유람선은 백제 시대 고증을 거친 황포돛배로 20분간 운행되어 낙화암의 기암절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선착장에서 고란사와 고란 약수까지는 도보로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한편, 고란사 영종각에 전해지는 ‘의자왕 삼천궁녀’ 이야기는 역사적 사실보다는 승자의 우화로 평가됩니다. 삼국사기에서는 의자왕을 사치와 향락에 빠진 군주로 기록했으나, 중국 사료에서는 효심 깊고 고고한 성품으로 묘사되어 상반된 평가가 존재합니다. 의자왕은 당나라에 항복하는 과정에서 자결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포로로 잡혀 생을 마감했습니다.

낙화암 삼천궁녀의 비극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기록되지 않은 허구로, 백제 멸망의 비극성을 극적으로 표현한 문학적 장치로 보입니다. 부여를 찾는 여행객들은 고란사뿐 아니라 부여 국립박물관에서 백제의 찬란한 문화유산을 함께 경험할 것을 권장합니다.

고란사 위치: 충남 부여군 부여읍 부소로 1-25 (쌍북리 산1)
운영시간: 부소산성 입장 시간에 따름 (하절기 09:00~17:00, 동절기 09:00~16:00)
입장료: 부소산성 입장료 포함, 황포돛배 이용료 별도
주차장: 부소산성 또는 구드래나루 주차장 무료, 고란사 차량 접근 불가

부여 고란사, 백제의 숨결과 약수의 전설
부여 고란사, 백제의 숨결과 약수의 전설
부여 고란사, 백제의 숨결과 약수의 전설 | 충남진 : https://chungnamzine.com/7000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충남진 © chungnam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