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마을서 15분 멈춘 심장 되살린 ‘삼박자’

Last Updated :
섬마을서 15분 멈춘 심장 되살린 ‘삼박자’

섬마을서 15분 멈춘 심장 되살린 ‘삼박자’

충남소방본부 119종합상황실 구급상황관리팀이 보령 녹도에서 발생한 심정지 환자에 대해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으로 70대 주민의 생명을 구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사건은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섬마을에서 15분간 멈춘 심장을 다시 뛰게 만든 ‘삼박자’의 조화가 빛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지난달 27일 오후 3시 29분, 보령시 녹도 마을회관에서 회의 중이던 70대 A씨가 갑작스럽게 쓰러져 의식과 호흡을 잃었다는 신고가 119종합상황실에 접수됐다. 신고를 받은 송주희 소방교는 즉시 구급상황관리팀 최진주 소방교에게 연결해 심정지 상황임을 알리고 긴급 대응에 나섰다.

최 소방교는 영상통화를 통해 현장 주민들에게 심폐소생술을 차분히 안내하며, 혼란스러운 현장을 정리하고 심폐소생술 시행을 독려했다. 주민들은 최 소방교의 지시에 따라 가슴 압박 위치를 조정하고 제세동기 사용법도 숙지해 A씨에게 전기 충격을 가하는 등 적극적으로 응급처치를 실시했다.

15분간의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 사용 후 A씨는 의식을 회복했고, 최 소방교는 소방대가 도착할 때까지 주민들에게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도록 지도했다. 그러나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상 긴급 이송을 위해 헬기 출동이 필요했으나, 충남소방헬기는 정비 중이어서 출동이 불가능했다.

이에 도 소방본부는 충북소방헬기의 긴급 투입을 요청했고, 헬기는 청주공항에서 출발해 35분 만에 녹도에 도착했다. A씨는 전북 익산에 위치한 원광대병원으로 이송됐으며, 이 과정에서 전북소방 구급차가 응급실까지 환자를 안전하게 이송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원광대병원은 헬기 이착륙이 가능하고, A씨의 기저질환 치료가 가능한 상급종합병원으로 선정됐다. 치료를 받은 A씨는 현재 일상생활이 가능한 상태로 건강을 회복했다.

최진주 소방교는 "이번 사례는 주민들의 신속한 신고, 정확한 심폐소생술 시행, 그리고 3개 도 소방본부 간의 긴밀한 협력이 맞아떨어진 결과"라며 "앞으로도 도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응급처치에 참여한 한 주민은 "갑작스러운 상황에 긴장했지만, 평소 소방서에서 받은 심폐소생술 교육과 119 소방관의 상세한 안내 덕분에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심정지는 심장이 멈추어 혈액 순환이 중단되는 상태로, 즉각적인 조치가 없으면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에게 가슴 압박을 반복해 혈액 순환을 돕는 응급처치법으로, 목격자가 즉시 시행할 경우 생존 확률이 3배 이상 높아진다.

충남도는 민선 8기 출범 이후 마을회관, 경로당, 영농 현장 등에서 노인을 중심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김태흠 지사는 2023년 1월 첫 업무보고회에서 주민들이 모이는 장소를 찾아 심폐소생술 교육을 확대할 것을 지시한 바 있다.

한편, 도내 심정지 환자 수는 2022년 1744명에서 2024년 1521명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며, 소생률은 2022년 11.3%에서 2024년 11.6%로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섬마을서 15분 멈춘 심장 되살린 ‘삼박자’
섬마을서 15분 멈춘 심장 되살린 ‘삼박자’
섬마을서 15분 멈춘 심장 되살린 ‘삼박자’ | 충남진 : https://chungnamzine.com/5974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충남진 © chungnam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