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극복, 충남의 지방자치 비전 선포

민선 지방자치 30주년 기념식 현장
2025년 1월 1일, 충남도청 문예회관에서는 민선 지방자치 30주년을 기념하는 뜻깊은 행사가 열렸다. 김태흠 충남도지사와 심대평, 유흥수, 박태권 전 지사, 그리고 도내 시장·군수 및 주민 대표 등 7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이번 기념식은 지난 30년간의 지방자치 성과를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지방소멸과 불균형 발전 문제 진단
김태흠 지사는 기념식에서 "지방자치의 궁극적 목적은 민주적 절차를 통한 지역 균형발전이지만, 30년이 지난 지금도 지방소멸과 불균형 발전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지역내총생산(GRDP) 역시 수도권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며, "그동안 200조 원에 가까운 예산이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효과는 미미했다"고 지적했다.
충남의 5대 비전 제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진정한 지방자치 시대를 열기 위해 김 지사는 다섯 가지 핵심 비전을 발표했다. 첫째, 농업·농촌 대개혁을 통해 지방소멸의 근본 원인인 농촌 문제를 해결하고, 청년 일자리 창출로 인구 유입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충남은 스마트팜 조성에 박차를 가해 청년들이 연 5천만 원 이상의 소득을 올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둘째, 국가 탄소중립경제 선도를 목표로, 충남은 전국 석탄화력발전소의 절반가량이 위치한 만큼 에너지 전환과 산업 재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2045년까지 52조 원을 투자해 국가 계획보다 5년 앞당겨 탄소중립을 실현할 방침이다.
셋째,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해 아산만 일대에 한국판 실리콘밸리인 베이밸리 메가시티를 조성,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공지능(AI) 등 첨단 산업 육성에 집중한다. 또한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통해 인구 360만 명, GRDP 190조 원 규모의 초광역 도시를 구축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한다.
넷째, 지역 특장과 특색을 살린 발전 전략을 추진한다. 김 지사는 "모든 지역에 획일적인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방식은 자생력을 키우기 어렵다"며, 5대 권역별 맞춤형 발전 계획을 소개했다. 내포권은 혁신도시로, 서해권은 국제해양관광벨트 및 에너지산업 중심지로, 남부내륙권은 국방클러스터로 육성할 예정이다.
다섯째, 실질적인 저출산 대책 추진이다. 김 지사는 "지난 18년간 380조 원의 예산 투입에도 불구하고 합계출산율은 0.75에 머물고 있다"며, "아이를 낳으면 성인이 될 때까지 국가가 책임지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충남은 365일 24시간 어린이집 운영과 전국 최초 주4일 출근제 시행 등 돌봄 정책을 강화해 2026년까지 합계출산율 1.0 회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비전 토크와 현장의 목소리
기념식에 앞서 열린 비전 토크에서는 김 지사와 도내 기업인, 공직자, 연구원, 청년농업인 등 5명이 참석해 지방분권 강화, 투자 환경 개선, 농업 스타트업 지원 등 다양한 주제로 의견을 나누었다. 참석자들은 행정통합과 초광역 협력을 통한 지역 경쟁력 강화에 공감하며, 실질적인 정책 추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미래를 향한 충남의 결의
김태흠 지사는 "이번 5대 비전은 충남뿐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 50년, 100년을 준비하는 국가 비전이기도 하다"며, "지방소멸과 불균형을 극복하고 새로운 지방시대를 여는 데 충남이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장에는 지역 주민과 관계자들의 기대와 희망이 가득한 분위기가 감돌았다.
